아지아·태평양(아태) 지역이 IoT 도입에서 전 세계 다른 지역을 압도해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글로벌 리서치기업인 옴디아와 글로벌 커넥티비티 제공업체인 텔레노어IoT(Telenor IoT)가 최근 <아시아 IoT 메가트렌드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아태지역 기업의 디지털 전환 속도는 전 세계 다른 지역보다 더디게 진행해 왔다. 그러나 투자 증가와 함께 이 지역은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여 IoT 도입에서 유례없는 큰 성장을 보이고 그 어느 때와 다른 수준으로 IoT 규모를 확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옴디아(OMDIA) 조사에 따르면 아태지역 기업의 20%가 향후 12개월 이내에 IoT 적용을 통해 500,000개 이상의 기기를 연결할 것이라고 한다. 또한 이 아시아태평양지역은 특히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및 태국 등의 국가에서 IoT 도입이 증가함에 따라 현재의 145억 개의 IoT 장치가 2030년 389억 개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대도시의 인구 증가와 광범위하게 퍼져있는 외딴 지역등과의 연결의 필요성, 도시 이동성 및 에너지 수요의 증대, 정치적 환경(IoT와 관련해 새로 도입/개편된 정책 또는 지침 등)과 같은 아태시장의 고유한 도전 과제는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없었던 방식으로 이 지역의 IoT 시장을 변화시킬 것이다. 게다가 이 지역의 IoT 공급망은 분산되어 있어, 기업은 복잡성으로 인한 어려움과 사이버 보안에 대한 우려를 맞고 있다.
이같이 IoT의 가속화를 고려하여 본 보고서는 기업이 IoT프로젝트에서 고려할 사항으로 국가 수준의 연결 고려, 입증된 통합 IoT 보안 솔루션 도입, 지속 가능성을 우선시, IoT 통합의 복잡성에 대한 계획, 적합한 파트너 선택 등을 꼽았다.
세스 라이딩(Seth Ryding) 텔레노어 IoT 아시아의 최고 영업 책임자 겸 대표는 "분명 디지털화와 지속 가능성은 점차 기업 미래 전략의 핵심이 되고 있다”며 “아태지역만큼 IoT 성장이 예상되는 다른 지역이 없으므로, 본 보고서에서 기술한 메가트렌드는 연결성이 강화되는 미래에 기업들에게 소중한 가이드 역할을 할 것이다”고 말했다.
피엔에프뉴스 pnfnews@pnfnews.com